본문 바로가기

Athletic Trainer/First Aid

의식없는 환자의 구조호흡

이번시간은 저번시간 배웠던 의식없는 환자의 A,B,C 에 이어 호흡이 없는 환자에게 구조호흡을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현장조사/의식유무/연락

현장이 안전한가 조사합니다.
환자의 의식 확인을 위해 어깨를 두드리며 "괜찮습니까" 하고 큰소리로 묻는다.
(얼굴을 때린다거나 몸을 흔든다거나 하지 않습니다. 환자에 2차적인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반응이 없으면 119에 전화한다.

 

1차호흡확인

환자의 자세는 그대로 유지하고 환자에 얼굴 가까이 대고 10초간 호흡을 확인합니다.
의식이 없더라도 호흡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다면 쇼크방지와 의식이 돌아올수 있게 도움을 주면서 119가 도착하기를 기다린다.

 

환자의 자세교정

일단 호흡이 없다면 생명유지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척추의 손상등은 부차적인 일이 됩니다.
신속하게 그러나 조심스럽게 구조호흡이 가능한 형태로 환자의 자세를 교정하세요. (10초 이내)

 

기도개방 (머리 뒤로 젖히기/ 턱 끌어올리기)

호흡이 없더라도 '기도개방' 만으로 호흡이 돌아올 수 있습니다.
(빨간색 동그라미를 주목해 주세요 이마를 누를때는 손날로 눌러야 하며 턱은 손가락끝으로 턱아래 연부조직이 아닌 턱뼈 끝을 들어올려 주어야 합니다)

 

2차 호흡확인

귀를 코에 가져가 호흡을 듣고 가슴이 오르내리는것을 관찰하고 숨결을 느낍니다. (보고 듣고 느끼고)

 

두 번 불어넣기

기도개방 후에도 호흡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두 번 불어넣기(과하지 않은 평범한 호흡량)
를 하여 산소공급과 도시에 기도개방이 잘 되었나 또는 기도에 이물질이 막혀있지 않은가 확인합니다.
환자의 이마쪽에 있는 집게손가락으로 환자의 코를 막고 처치원자신의 입으로 환자의 입 전체를 감싼 다음 각 1초간의 불어넣기를 실시합니다.
 

맥박확인

위의 과정까지 잘 되었으면 혹시 맥박까지 없지는 않나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맥박이 없다면 CPR과정으로 흉부압박까지 시행하게 되고 다행히 맥박은 뛰고 있다면 규칙적인 불어넣기고 산소공급만 하게 됩니다.
고개는 계속적으로 뒤로 젖히고 있어 기도개방을 하고 있으며 다른 한손으로 목젖 옆의 경동맥을 만져 맥박을 느껴봅니다. 이때 그림과 같이 처치자의 몸쪽에 위치한 경동맥을 이용해야 하는데 먼 쪽을 만졌을 경우 목을 조르고 있는 형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10초동안 확인을 합니다. 의식이 없는 환자는 맥박이 정상이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하십시오. 느리거나 약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으로 불어넣기 시작

다행히 맥박은 뛰고 있군요.
규칙적으로 불어넣기를 시작합니다. 5초에 한번 불어넣기를 (2초불기 3초대기) 1분간 실시합니다. 이때 불어넣은후 쉬는 3초동안 귀를 코에 가져가고 눈은 가슴의 오르내림을 관찰하면서 공기가 나가는것과 호홉이 돌아오는지를 관찰합니다. 또한 이와 동시에 구조호흡 횟수를 확인하기 위해 후~하나둘셋, 후~둘둘셋, 후~셋둘셋, 후~넷둘셋........후~열하나둘셋 구령을 하여 페이스를 유지 합니다.

 

맥박 재확인

마지막 열두번째 불어넣기 후에 바로 맥박을 재확인 합니다.
불어넣기를 하는동안 상태가 악화되어 맥막이 정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맥박이 계속해서 뛰고 있으면 다시 규칙적으로 불어넣기를 계속하고 맥박이 없으면 CPR로 넘어가 흉부압박까지 병행해야 합니다.

 

규칙적으로 불어넣기

앞서 행했던 규칙적으로 불어넣기와 같습니다.
1분간격으로 맥박을 재확인하며

 

다음과같은 상황이 아니라면 절대 구조호흡을 중단하지 않도록 합니다. 
1. 호흡이 돌아왔을 때
2. 교대가 가능할 때
3. 119에 인계했을 때
4. 지쳐서 도저히 할 수 없을 때